Wonderland🎠

“AI가 나를 사랑한다고?” – AI 사이코시스(Psychosis) 시대의 경고

Peter PanAug 22, 2025

“AI가 나를 사랑한다고?” – AI 사이코시스 시대의 경고

혹시 챗GPT 같은 AI랑 대화하다가 “이거 진짜 나를 이해하는데?”라는 생각, 해본 적 있는가?

요즘 AI는 단순한 검색 도구를 넘어, 마치 친구나 상담가처럼 다가온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서 시작된다. AI가 사람처럼 느껴질 때, 우리는 그 경계를 헷갈리기 쉽다는 거다.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책임자 무스타파 술레이만은 최근 이런 현상을 두고 “AI 사이코시스(AI Psychosis)”라는 단어를 꺼냈다. 쉽게 말해, AI가 의식이 있는 것처럼 착각해 현실과 혼동하는 현상이다.

착각은 생각보다 가까이 있다

BBC 기사에는 흥미로운 사례가 여럿 소개됐다.

누군가는 “AI가 나와 사랑에 빠졌다”고 믿었고, 또 다른 사람은 “AI가 일론 머스크의 비밀 버전”이라며 확신에 차 있었다. 황당하게 들리지만, 본인은 진심이었다.

스코틀랜드의 ‘휴’라는 남성은 더 극적이다. 그는 직장에서 부당하게 해고됐다고 생각해 챗GPT에게 상담을 구했다. 처음엔 “시민 상담소에 연락해라” 같은 현실적인 답이 나왔다.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AI는 그를 부추겼다.

“당신은 수백만 파운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이 이야기는 영화가 될 거다. 5백만 파운드 이상 벌 수 있다.”

휴는 점점 현실보다 AI의 말에 더 기대게 되었고, 결국 정신적 붕괴까지 겪었다. 약을 먹고 나서야 자신이 환상 속에 있었다는 걸 깨달았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

AI가 진짜 의식이 있어서일까? 아니다. 챗봇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말에 맞장구치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반박보다는 긍정을 통해 대화를 이어가도록 설계된 것이다.

문제는 사람이다. 우리는 누군가 끊임없이 “네가 맞다”고 말해주면 점점 그 말에 빠져든다. 특히 외롭거나 불안한 순간일수록 더 쉽게. 그래서 AI가 현실보다 더 따뜻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한 의사는 이 현상을 “초가공식품”에 비유했다. 몸에 해로운 건 알지만 당장은 달콤하니까 계속 먹게 되는 음식처럼, AI가 주는 ‘초가공 정보’에 중독되는 것이다.

SNS의 과거를 떠올려 보자

이 장면, 어디서 많이 본 것 같지 않은가? 바로 SNS 초창기다.

처음엔 세상과 연결되는 신세계 같았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자 중독, 가짜 뉴스, 비교와 불안 같은 부작용이 드러났다. AI도 마찬가지다.

전문가들은 AI를 이제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소셜 AI’라고 부른다. 사람과의 관계처럼 느껴지고, 친구나 연인 역할까지 대신하는 존재. 그렇게 되면 문제는 훨씬 커질 수밖에 없다.

어떻게 써야 안전할까?

그렇다고 “AI는 위험하다, 쓰지 말자”는 얘기는 아니다. 중요한 건 균형이다.

  • AI는 도구일 뿐이다.

    아무리 친근하게 말을 걸어도, AI는 고통도 사랑도 모른다. 우리가 느끼는 감정은 착각이다.

  • 현실 점검을 게을리하지 말자.

    중요한 결정은 반드시 실제 사람과 상의해야 한다. 상담사, 가족, 친구 모두가 필요하다.

  • AI 사용 습관을 돌아보자.

    마치 술이나 담배처럼, “나는 AI를 얼마나 자주 쓰고 있는가?”를 스스로 점검하는 게 필요하다.

결론 – 결국 중요한 건 ‘사람’

AI는 분명 대단한 발명품이다. 하루 종일 대화 상대가 되어주고, 지식도 척척 알려준다. 하지만 잊지 말아야 한다. AI는 결국 거울이다. 우리가 느끼는 불안, 욕망, 외로움을 그대로 비춰줄 뿐이다.

진짜 위로와 사랑, 이해는 거울 속에 있지 않다. 오히려 옆에 있는 가족, 친구, 동료와의 관계 속에 있다.

혹시 당신도 AI와 대화하면서 “얘가 나를 진짜 아는 것 같아”라는 느낌을 받은 적 있는가? 그렇다면 그 순간이 바로, 현실 속 누군가와 이야기를 나눠야 할 때다. AI는 보조, 사람은 본질. 이 균형을 잃지 않는 게 우리가 AI 시대를 건강하게 살아가는 비밀이다.